관광비행 효과도 '글쎄'···LCC, 4분기 보릿고개 이어지나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업계의 한숨이 짙어지고 있다. 여객 수요 회복을 위해 야심차게 출시했던 무착륙 국제 관광비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대형항공사(FSC)와 달리 대체 수익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LCC업계에서는 4분기도 대규모 적자를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진행된 항공사들의 무착륙 국제 관광비행상품이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국제선 해외 관광 탑승률은 36%에 그쳤다.출시 시점이 코로나19 대유행과 겹치면서 타격을 입은 가운데 일정 취소도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에어서울은 당초 19일과 26일 예정됐던 비행편 운항을 취소했고, 대한항공은 정부의 허용 발표 이후 관련 상품 출시를 검토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자 논의를 잠정 중단한 상태다.아직까지는 예정대로 운항한다는 항공사들도 상당수지만 내부적으로는 고민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 금융투자업계에서는 LCC가 지난 3분기와 유사한 수준의 적자를 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주항공은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701억 원을 기록하는 등 6분기 연속 적자를 냈고 진에어는 492억 원, 티웨이항공 311억 원, 에어부산도 424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일각에서는 LCC들의 4분기 실적이 더욱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경우 657억 원, 티웨이항공은 359억 원, 진에어는 418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4분기에는 휴가철 등 3분기와 달리 국내선 판촉 요인이 적었으며,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객기 운항 외엔 다른 수익 구조가 극히 드문 LCC의 특성상 세계적으로 백신이 보급돼 여행 수요가 회복되는 것 외에는 딱히 타개책이 없다.반면, 관광비행 타격에도 화물 운송을 더욱 확대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과 화물 특수의 최대 수혜자 대한항공은 4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지난달 화물 수송량은 각각 12만2000t, 6만10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1.7% 증가했다. 특히 대한항공은 지난 10월에도 12만1000t을 기록해 4분기 호성적을 이어가고 있다.무엇보다 화이자를 시작으로 코로나19 백신 긴급승인이 이뤄지고 있어 화물 운임이 급등하고 있다는 것도 호재다. 지난 11월 말 기준 해외 항공화물 운임은 약 7.37달러로 전달 대비 30%가량 상승했다. 코로나 백신 원료, 백신 수송 등으로 이달 들어 운임료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이미 지난해 6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코로나 백신을 포함한 의약품의 항공 운송 전문성과 우수성을 증명하는 '국제표준인증'을 취득한 대한항공은 국내 최초로 컨테이너 및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한 코로나 백신 원료 약 800kg을 수송하며 백신 수송 특수를 예고했다.코로나19 백신 수송을 위해서는 의약품의 항공 운송 전문성과 우수성을 증명하는 IATA의 인증의 취득해야 하는데 LCC 중에서 이를 보유한 항공사는 단 한 곳도 없다. 화물운송 경험이 많지 않은데다 FSC와 화물 기단, 노선 규모 등의 차이도 크기 때문에 화물 사업으로 실적 개선을 이뤄내기도 쉽지 않다.이에 업계 다른 관계자는 "4분기는 전통적인 항공 화물 성수기로, 올해는 코로나 백신 원료 수송 등 다양한 요인이 겹쳐 운임이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대체 수익이 뚜렷치 않은 LCC의 경우 대규모 적자가 지속돼 FSC, LCC간 실적 양극화는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더팩트 한예주 기자 외부링크: 관광비행 효과도 '글쎄'…LCC, 4분기 보릿고개 이어지나 - 비즈팩트 > 기사 – THE FACT (tf.co.kr)